그래픽 카드 오버클럭 및 전압조절하기 (펌웨어 수정)
그래픽 카드 팬 조절하기에 이어 그래픽 카드 전압조절 하기입니다..
먼저 NVIDIA 그래픽 사용자에 한해 적용되는 팁이며, 2가지 방법으로 나뉜다는점을 알려드립니다.
NVIDIA 그래픽카드의경우 Fermi 모델과 그 이전 모델(Tesla 모델등)로 오버클럭 및 전압조절 방법이 나뉩니다.
(600 시리즈의 Kepler 모델은 제외)
Fermi 모델의 경우 파코즈에도 해당 팁이 존재하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강좌] GTX560 TI 바이오스 오버클럭 셋팅 방법
이 팁 은 상당한 위험이 있다는점과 모델마다 다르다는점은 알고계셔야 합니다.
가급적 소프트웨어로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신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2012/01/21 - [잡동사니/Warning] - 그래픽 카드 팬 속도 조절하기 (펌웨어 수정)
2013/05/13 - [삽질기] - ASUS 노트북 GPU 바이오스 덤프기
전압 조절 및 오버클럭 테스트(부하 테스트는 별도로 사용해야 함)는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NVIDIA Inspector / MSI Afterbunner
먼저 그래픽 카드의 바이오스(펌웨어)를 덤프(백업) 합니다.
Nvidia 바이오스 에디터인 NiBiTor 을 통해 GPU-Z에서 덤프(백업)한 파일을 열어 Tools 메뉴의 Fermi Clocks 을 누르면
Clock domains 라는 창에 현재 지포스 GT430(팁 작성에서 사용된 테스트모델) 의 클럭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3,7,15 는 클럭프로필을 나타내며 각각 2D / 3D low / 3D Perfomance 를 나타냅니다.(숫자는 모델에 따라 다를수 있음)
지포스 GT430 의 경우 다른 Fermi 모델과는 달리 메모리 클럭, 쉐이더 클럭 만 수정하면 됩니다.보통 오버클럭의 경우
15(3D Performance) 프로필만 수정하면 되는데 코어클럭(쉐이더 클럭 1/2 이 자동 적용), 쉐이더 클럭(3,11번항목), 메모리 클럭(5번항목)순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GT 430 이상의 모델의 경우 Bumped 쉐이더 클럭이 존재하여 클럭계산법이 따로 존재 합니다.
또 다른 예로 이번엔 Bumped 쉐이더 클럭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제 메인시스템의 GTS450 입니다.
이 제품은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어클럭(쉐이더 1566/2) 783Mhz / 쉐이더클럭 1566Mhz / 메모리클럭 1804Mhz / Bumped쉐이더 1645Mhz
이 제품을 만약 800/1600/2000으로 오버클럭을 시킬 경우 메모리 클럭인 항목 5번 항목을 2000으로 수정
쉐이더 항목인 3번 항목을 1600 으로 수정 하신뒤
Bumped 쉐이더는 (기존 Bumped 쉐이더 클럭인 1645 / 기존 쉐이더 클럭 1566) * 원하는 쉐이더 클럭인 1600 을 하시면
약 1681이 나옵니다.
이 값을 4,11번 항목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어려우시죠.. 다행히 값을 계산해 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http://downloads.guru3d.com/download.php?det=2743
여기까지가 Fermi 모델의 오버클럭 방법이었습니다.
----------------------------------------------------------------------------------------------------------------------------
그 이전 모델의 경우 예) GTS 250
Tools 메뉴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Clockrates 탭에서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Bootup Clocks 는 부팅시 클럭을 지정하는것입니다.(보통 최대클럭으로 작동함)
----------------------------------------------------------------------------------------------------------------------------
이제 전압조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ermi Voltage 를 누르면 셋팅 항목(프로필)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수 있습니다.. 샘플의 GT 430은 극히 제한적으로 설정할수 있지만)
위 스샷의 경우 이미 설정된 값으로 P3 (즉 2D 작업시 0.863V 까지 안정적이라고 하는데 혹시 몰라 한단계 위 전압으로 설정했습니다.)
물론 테스트를 해본뒤 적용하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제 경우 2D 프로필은 최소로 설정했으며 3D Low , 3D Performance 는 각 한단계씩 낮춰서 설정함
메인에서 사용중인 GTS450 의 경우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한계 전압은 물론 각 프로필 마다 전압의 범위까지 설정할수 있습니다.
P12 의 경우 클럭 프로필에는 나오지 않은 관계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기본값으로 두시면 됩니다.
위 경우도 제가 테스트하여 미리 설정한 값입니다..
----------------------------------------------------------------------------------------------------------------------------
다시 구모델로 돌아와 Voltages 탭에서 해당 프로필의 값을 수정하신뒤 저장하시면 됩니다.
저장하고 nvflash 를 통해 업데이트 하시면 됩니다..
물론 그전에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고 백업까지 해 놓으신뒤 하시는걸 권장합니다.
참고사이트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노트북 GPU 바이오스 덤프기 (0) | 2013.05.13 |
---|---|
ASUS 노트북 GPU 바이오스 덤프기 (0) | 2013.05.13 |
삼성 TV&모니터 펌웨어 수정도 가능하군요 (0) | 2013.05.08 |
인텔 D945GCZ 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기 (0) | 2013.04.14 |
갤럭시S2 외장메모리 사진 복구기 (0) | 2012.11.20 |
AMI UEFI 바이오스내 PCI 롬 모듈 업데이트 하기 (0) | 2012.10.05 |
그래픽 카드 오버클럭 및 전압조절하기 (펌웨어 수정) (6) | 2012.09.04 |
노트북 바이오스 수정을 통한 팬 컨트롤 하기(AMI Aptio 바이오스 수정) (3) | 2012.02.17 |
그래픽 카드 팬 속도 조절하기 (펌웨어 수정) (21) | 2012.01.21 |
-
mma 2012.09.22 21:22
당장의 오버클럭을 하지 않더라도, 언젠가는 해보고 싶다는분들, 경제적으로 2만원쯤 CPU 에 여유를 위해 더 투자하고 싶다는분, 오버클럭을 생활화(?)하는 분들.. 이런분께는 돈 2만원 이상의 값어치를 해주는것이 바로 3570K 이기 때문에, 고민말고 지르셔도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http://www.nowpug.com/145212#4
-
-
3번 프로필의 경우 아이들 상태일때를 나타내는 클럭입니다.
보통 지포스 시리즈의 경우 50/101/67 정도로 클럭을 떨어트려 전력 및 발열을 줄이는 프로필입니다.
하지만 몇몇 제조사에서는 이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혹은 사용되지 않도록 막아둔 제조사도 있습니다.
이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tech_nvidia&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83 를 확인해 보시고
보통 오버클럭은 15번 프로필만 수정하시면 됩니다.
15번 프로필 수정시 Bumped 쉐이더 클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니 본문내 계산해 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셔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