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17일 티X 에서 xfx rx480 블랙울프 oc 특가를 하길래 고민을 하게되었습니다.
기존 270x 에서도 나름 큰 불만은 없었지만 올라온 가격 311500(309000+2500) 원이 아닌 더 저렴한 가격에 구입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놀고 있는 그래픽카드 중고 판매(GT650 + 270x) + 문화상품권신공 + 둠쿠폰을 팔면)
현재 시장에서 1070 > 1060 6g >= 480 8g > 480 4g >= 1060 3g > 470 순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일부 벤치에서 엎치락 뒤치락 하는 경우가 있으나 거의 동급으로 취급을 하고 있습니다.
전문리뷰는 http://www.coolenjoy.net/bbs/review/374859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전문 리뷰의 모델은 Super OC 버전으로 노멀 OC 버전과 동일하지만 클럭만 살짝 다릅니다. 1288->1328 , 리미티드 에디션은 1352)


삼디막(3D Mark) 의 파이어스트라이크 점수를 보면 270x 의 2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Ver 1.5 / 2.2 / Ver 2.5 총 3가지의 버전이 시장에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정확한 차이는 모르겠으나, 기판은 차이가 없어 보이며 초기 바이오스가 다른걸로 보이네요
RX-480P8DBA6 으로 올라온 바이오스
(2017.01.22 현재 xfx 사이트내 바이오스 다운로드 페이지가 막힘)
113-P10XT-E1288-8GB-12EW80 (2016.08.02 05:19) gtr 초기 버전으로 보임
113-P10XT-IBU1288-8GB-W816E (2016.08.26 05:21) xfx 공식사이트 (퍼포먼스버전)
113-RX480-8GB-H1288M8G-W80 (2016.10.09 23:22) xfx 공식사이트 (스텔스버전)
113-RX480-8GB-I1288M8G-W80 (2016.10.14 03:44) 원본 바이오스
스텔스(80) , 퍼포먼스(81) 으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3000 / 3800 에서 2200 / 3800 으로 변경된걸로 보임
원본 바이오스 버전이 가장 최신버전으로 홈페이지 제공 버전보다 아이들시 메모리 클럭이 300->600 으로 올라감
(레퍼, SOC 버전 모두 최신버전에서 메모리 클럭이 올라감)
디씨발 기판 비교에서 XFX>ASUS 순으로 평가를 받고 있으나 해외 포럼에서는 오히려 ASUS>XFX 순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XFX 제품의 경우 퓨리급 전원부 + 바이오스 세팅이 잘되어 있어 발열이나 부스터클럭 유지에서 유리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TDC , TDP 가 타이트하게 잡혀 오버할때 바이오스 개조가 필요할 수 있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idepc_new3&no=5233688
https://www.reddit.com/r/Amd/comments/4wq6ei/xfx_rx_480_gtr_black_nonreference_review/
원탑모델과 블랙울프모델 모두 HIS 제품과 기판 공유를 하고 있는데, 원탑모델의 경우 HIS 의 IceQ X2 와 동일 기판을
블랙울프모델의 경우 IceQ X2 Roaring Turbo (국내 미출시) 과 동일 기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videocardz.com/review/his-radeon-rx-480-iceq-x2-roaring-turbo-8gb-review
와트맨보다는 외부프로그램인 와트툴(WattTool) 을 이용한다면 추가적으로 LLC 설정, 오프셋 설정 등 조금 더 세부적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모니터링되는 전압 값은 실제 측정값과 차이가 있으며, 센서 데이터를 통해 계산된 값(VRMTool 을 통해 계산법 확인가능)

(LLC 설정의 경우 XFX 제품에서는 사용할수 없다고 하나 테스트 해보면 인가되는 전압값이 달라지는걸로 보아 어느정도는 적용이 되는것 같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가장 높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에 체크!!

로그인할때 마다 모든 사용자에서 실행하도록 트리커 설정 (윈도우 부팅 할때마다 실행되도록)

프로그램/스크립트에는 와트툴의 위치 및 실행파일
인수 추가에 앞뒤로 "" 를 붙인 상태에서 와트툴의 위치\프로필명.ini 로 지정
위에서 언급했듯 프로필명.ini 파일을 열어 Nogui 값을 0 에서 1로 변경해야 합니다.
샘플 스케줄러
WattTool.xml

480 시리즈가 대체적으로 세팅이 잘못된 상태로 출시가 되었다고 보는 유저가 많습니다.
특히 높은 전압과 타이트한 전력제한이 기본값으로 잡혀 사용 전력, 발열 , 부스터 클럭 유지를 못하고 있는 점이 있는데
그래서 사용자에 따라 저전압 설정을 통해 사용 전력과 발열을 잡고 있습니다.
(실제 벤치상으로 저전압,전력제한 해제를 통해 성능이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음)
기존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ASIC 에 따라 바이오스에서 주는 전압값이 다른데 ASIC 값이 높을수록 기본전압이 낮게 잡힙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제품은 71.9% 로 1288Mhz 에서 1150mv 를 주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꼭 ASIC 값이 높거나 낮다고 해서 오버나 저전압설정에서 유리한건 아닙니다.)
1000mv 이하 값을 주기 위해서는 GPU 코어 전압과 메모리 설정 부분의 전압을 수정하여야 하는데
2개의 전압 설정중 최저값에 동기화에 되어 적용이 되기 때문에 둘중 하나에 맞춰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1300Mhz 에서 1000mv 이하의 전압은 수율이 좋은 제품에서만 가능한편으로 보입니다.
전압제어에 LLC 가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율에 따라 오히려 설정한 전압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하가 클때 전압이 떨어지고, 적을때 올라가는)

DPM0 (manually fixed voltage)
DPM1 (2nd DPM) = 0xFF02 (65282)
DPM2 (3rd DPM) = 0xFF03 (65283)
DPM3 (4th DPM) = 0xFF04 (65284)
DPM4 (5th DPM) = 0xFF05 (65285)
DPM5 (6th DPM) = 0xFF06 (65286)
DPM6 (7th DPM) = 0xFF07 (65287)
DPM7 (8th DPM) = 0xFF08 (65288)
http://cdn.overclock.net/d/d6/d6218cdd_Fiji_VID_Mod_v2.0.jpeg
순정 바이오스, 기본값일때 GPU DPM 에 따른 초기 전압값 (ASIC 값에 따라 다름)

지포스 시리즈와 달리 라데온 계열은 메모리 클럭 테이블이 2개로 최소->최대 클럭으로 바로 이어지는데
이유를 알수 없지만 원래는 4 개의 테이블로 이루어져 있는데 2개만 활성화된 상태로 보임

메모리쪽 VDDCI 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 전압으로 보이며, 동적으로 작동하지만 와트맨에서 전압 설정을 수동으로 전환할 경우 해당값이 고정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음

xfx 공식사이트에 가면 퍼포먼스 와 스텔스 두가지 바이오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art No. RX-480P8DFA6)
http://xfxforce.com/en-us/support/bios-files
쿨러 셋팅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데, 퍼포먼스 바이오스의 경우 RPM 이 3000 으로 최대 속도까지 풀려 있는 반면
스텔스 바이오스의 경우 2200 으로 제한 되어 있습니다.
(슈퍼 OC 버전과는 클럭테이블과 최대 파워 리미트가 다름)
(기본 온도 타켓이 높게 잡혀 있는데 바이오스의 FAN 설정값이 아닌 와트맨 설정의 FAN 값이 우선순위가 되어
와트맨 설정을 통해 75 도에서 65 도 정도로 변경만 해주셔도 발열을 어느정도 잡을수 있습니다.)
(최대 성능을 위해 퍼포먼스 바이오스 사용시 소음이 있을수 있다라고 공지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최대 성능은 온도에 따라 부스트 클럭을 유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쿨러 속도를 높여 부스트 클럭 유지를 위한)

현재 제품 사용중 한가지 문제가 있는데
위 스샷의 메모리 부분을 보시면 아이들시 300Mhz - 1000mv , 로드시 2000Mhz - 1000mv 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아이들시에 걸리는 클럭은 600Mhz 으로 기본 바이오스의 문제인건지
퍼포먼스 혹은 스텔스 바이오스를 새롭게 한번 업데이트해 주시면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계속 600 으로 유지가 된다면 오버 초기화후에)


애프터 버너 사용시 와트맨을 초기화 시키는 설정이 기본으로 체크되어 있으니 해제가 꼭 필요!!
(모니터링중 클럭과 프레임은 정상인데 GPU 로드율이 큰폭으로 자꾸 드랍되는 경우 Enable unified GPU usage monitoring 에 체크!!)
일반적으로 코어>메모리 오버순으로 성능향상에 도움이 되는데, 480 의 경우 코어,메모리 모두 성능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제한값인 2250 까지 오버를 할 경우 최대 10% 의 성능향상이 될 수 있습니다.(+램타이밍 트윅)
초기 드라이버에서 메모리 스케일링 버그로 인해 오버에 제한, 특정 클럭 구간에서 오히려 성능 하락이 오는 문제가 있었으나
최신 버전에서는 모두 해결이 되었습니다.
http://www.overclock.net/t/1609366/amd-16-8-1-16-8-2-memory-clocks-not-working
http://www.hardwareluxx.de/index.php/artikel/hardware/grafikkarten/39615-amd-radeon-rx-480-im-test.html?start=25

메모리 오버시 안정화 테스트를 하면서 HWinfo 의 GPU Memory Errors 값을 체크 필요!!
(메모리의 CRC 체크를 통해 값이 측정되나 실제 오류값, 정정한 오류값 모두 동시에 측정이 되어 실제 에러 유무 판단이 어려움)
(Memory Errors 값이 올라가더라도 사용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음)
https://www.reddit.com/r/overclocking/comments/5296s3/how_many_gpu_memory_errors_are_acceptable_any/
(하지만 오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값이 올라간다면 현재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GPU 오버+메모리클럭 기본값인 상태에서 오류값이 올라간다면 GPU 오버 실패일 확률도 있음)
(또한 세팅된 램타이밍이 해당 클럭(오버시)을 못버텨 값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음)
(4기가 버전과 8기가 버전의 차이가 클럭 차이도 있지만 메모리 전압의 차이도 있음)
https://www.hwinfo.com/forum/Thread-GPU-Memory-Errors-Reading
메모리 클럭이 정상적으로 들어갈때 정상 벤치 값 (오버 성공시)

모니터링상으로는 설정한 메모리값이 들어가는것 같으나 실제 벤치상에서는 반토막이상으로 값이 하락
메모리 에러 체크 수치가 상승하며, 벤치상에서 뿐만 아니라 게임상에서는 체감될 정도 fps 드랍이 심해짐
또한 메모리 클럭이 최소~최대 클럭에서 출렁거리는 현상을 볼수 있음 (오버 실패시)

oclmembench.zip

램타이밍의 경우 각 구간별로 값이 다름
1375 이하 / 1375~1500 / 1500~1625 / 1625~1750 / 1750~2000 으로 해당 범위내 클럭일때 들어가는 타이밍
2000 은 그 이상을 클럭을 넣을때 들어가는 타이밍으로
(쉽게 타이밍을 타이트하게 설정할려면 1625 나 1750 범위의 타이밍을 복사하여 2000 에 설정)
삼성메모리를 탑재한 480 시리즈를 모두 비교해 보았을때 아래와 같은 동일한 타이밍을 가지고 있음
2000 Mhz
777000000000000022CC1C0031F67E57F05711183FCFB60D006C070124081420FA8900A0030000001E123A46DB354019
http://www.overclock.net/t/1604567/polaris-bios-editing-rx480-rx470-rx460 에서 타이밍트윅 부분을 보면 일부 게임에서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됨
하지만 클럭,램타이밍 모두 수율에 따라 복불복이라서 충분한 테스트가 필요하며, 바이오스 에디팅을 통해야 하므로 가급적 듀얼바이오스를 탑재한
시스템에서만 적용하는걸 권장
또한 최신 드라이버에서는 바이오스 사인 체크 기능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수정된 드라이버가 필요
(기존에는 파일패치->미인증 드라이버 부팅허용->패치된 파일 사인 순으로 진행을 했으나
https://www.monitortests.com/forum/Thread-AMD-ATI-Pixel-Clock-Patcher 가 버전업되면서 위 과정을 거칠필요 없이
드라이버 설치후 재부팅 하지 않고 위 패치를 바로 실행한뒤 재부팅하면 적용이 됩니다.)
(메모리 전압은 1.3~1.6 을 유지하며(메모리 스펙에 따라 다름), 와트맨에서의 메모리 전압은 일부 제품에서만 적용이 되며,
비레퍼에 많이 탑재된 IR3567B 전압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전압 제어를 지원하지 않음)
참고할 사이트
http://www.overclock.net/t/1604567/polaris-bios-editing-rx480-rx470-rx460
http://www.overclock.net/t/1609782/watttool-a-simple-tool-that-combines-overclocking-with-vrm-monitoring-tweaking-for-rx-400-series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vga&wr_id=138604
IR3567B 컨트롤러, DPM 참고할 사이트
http://www.overclock.net/t/1592384/fiji-bios-editing-fury-fury-x-nano-radeon-pro-duo
http://www.overclock.net/t/1561372/hawaii-bios-editing-290-290x-295x2-390-390x